상단영역

편집 : 2024-04-26 18:03 (금)

본문영역

[SDG3] KIST-'신약개발에 강한' 동아ST, 염증성 장질환 경구 핵산 치료제 개발 나섰다

KIST 본원 내 KIST-동아ST Linking Lab 설치...기술상용화 협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아ST R&D 총괄 박재홍 사장(왼쪽)과 KIST 윤석진 원장이 22일 동아ST-KIST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한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KIST제공)
동아ST R&D 총괄 박재홍 사장(왼쪽)과 KIST 윤석진 원장이 22일 동아ST-KIST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한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KIST제공)

[SDG3 건강한 삶] '신약개발에 강한 제약사'  동아ST가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와 손잡고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KIST는 동아ST와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제 개발을 위해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전달체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계약에 따라 동아ST는 KIST 의약소재연구센터가 개발한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치료제 전달기술에 관한 특허 권리를 양도받는다.

염증성 장질환은 대장관에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이 만성적으로 생기는 질병으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질환이다.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으로는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크론병(Crohn's disease)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들은 면역 체계의 과도한 반응으로 인해 장 부위에 지속적인 염증과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동아ST와 KIST 의약소재연구센터는 KIST에서 운영 중인 링킹랩(Linking Lab) 과제에 선정돼 밀크엑소좀 기술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2년간 공동으로 수행한다.

KIST는 치료제 탑재 기술 및 밀크엑소좀 제조 공정 초기 연구와 동물모델에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동아에스티는 치료제 탑재 및 제조 공정 스케일업 연구, 약효 기전 연구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엑소좀은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세포 밖 소포체 일종으로, 세포 간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된다. 이러한 엑소좀 특징을 활용해 엑소좀 내부에 치료 물질을 탑재, 질환 부위에 전달하는 약물전달 시스템(DDS)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밀크엑소좀은 우유에서 분리한 엑소좀으로, 동물세포 유래 엑소좀에 비해 생산성이 높고 경구 섭취가 가능하다. 위장관계로 직접 전달되므로 질환 부위 이외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차단할 수 있고 안전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염증성 장질환은 소화관 내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발병하며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으로 분류된다. 치료제로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최종산물인 TNF(종양괴사인자)-α 억제제가 쓰이는데, 평생 투여가 필요한 정맥 또는 복강 내 주사제다. 환자 피로도가 높고 반복투여 시 2~5년 내 부작용 및 내성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동아ST는 밀크엑소좀을 전달체로 활용해 향상된 치료 효능과 부작용 차단 및 내성 최소화, 경구투여를 통한 복약편의성이 확보된 장질환 치료제 개발할 계획이다.

밀크엑소좀의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되면 밀크엑소좀 약물전달 시스템 플램폼화도 진행할 계획이다. 신규 모달리티(치료접근법) 치료제를 밀크엑소좀 약물전달 시스템에 탑재해 차별화된 치료제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윤석진 KIST원장은 “KIST와 동아ST의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하는 밀크엑소좀 기반 경구 핵산 치료제는 인류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이라며 “국내시장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기는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ST R&D 총괄 사장은 “밀크엑소좀의 물질적 특장점에 착안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에 주목하게 됐다”며 “밀크엑소좀의 이러한 특징을 활용한 약물전달 시스템 플랫폼을 개발해 다양한 질환 치료제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아ST와 KIST의 협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KIST는 지난 2019년 동아ST에 ‘타우 단백질 응집 저해 기반 치매 치료제 개발 기술’을 기술이전했으며, 치매의 원인물질인 타우 단백질을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 기반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해 전임상시험을 하고 있다.

SDG뉴스 임명재 기자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