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6 18:03 (금)

본문영역

[SDG13] “한국 기후위기 대응 강화”...우리바다 공간해상도, 기존 기후모델 대비 3배 ↑

수산과학원, 공간해상도 3km, 하루간격 예측자료 생산·제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DG13 기후변화대응] 우리나라도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2023년 출간)에 활용된 전 지구 기후모델 예측결과(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SSP 시나리오)를 우리 바다에 적용하고 시·공간 해상도 향상을 통해 예측자료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고 국립수산과학원이 13일 밝혔다.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 바다 미래 해양환경 변화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춤으로써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할 수있게 된 것이다.

​(출처=수산과학원)IPCC AR6 기반 미래 수온 전망 결과(출처=수과원)
​(출처=수산과학원)IPCC AR6 기반 미래 수온 전망 결과(출처=수과원)

특히 수치모델 공간해상도를 기존 수과원의 해양기후모델 대비 약 3배(10km→3km) 높여 그동안 예측에 한계가 있었던 연안과 주요 내만의 미래 해양환경 변화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 시간해상도를 약 30배(월→일 간격) 향상시켜, 극한기후 현상에 의한 미래 이상수온 발생 빈도 증가나, 수산생물의 생리·생태 주기 변화 등 짧은 기간내에 일어나는 해양수산 변동도 분석이 가능하다.

SSP 시나리오에 기반한 고해상도 해양기후모델 예측 결과, 우리나라 바다의 표층수온은 과거(1993~2014년 평균) 대비 2100년까지 2.0~4.5℃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출처=수산과학원)
(출처=수산과학원)

세부 시나리오별 우리 바다 미래 표층수온 변화는 △중도 성장 시나리오인 SSP2-4.5의 경우 2℃ 내외 △불균형 성장을 가정한 SSP3-7.0의 경우 3℃ 내외 △고속 성장 시나리오인 SSP5-8.5의 경우 4.5℃ 내외로 각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IPCC 5차 평가보고서(2014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지구의 복사강제력만을 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했으나, SSP 시나리오는 복사강제력과 더불어 인구수, 토지이용 등 사회경제학적 요소까지 감안했다.

따라서 기존 수과원 해양기후모델에 비해 실현가능성이 높고 훨씬 정밀한 기후변화 전망이 가능해졌다.

수과원은 이번에 생산된 미래 예측자료를 학계와 산업계 및 정책 현장 등에 제공해 해양수산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적응 기술개발 및 전략 수립을 지원키로 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새롭게 생산된 우리 바다 미래 예측자료는 해양수산분야의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더욱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라며 “수과원의 미래 예측자료가 해양수산분야의 기후변화 대응에 많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SDG뉴스 임명재 기자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