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6 18:03 (금)

본문영역

카이스트·KIST 협동...수면 중에도 위험 감지 위해 불침번 서는 뇌신경회로 발견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디지털 헬스분야 적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리자극에 반응하는 GRIK4 배내측 신경. 소리자극이 주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GRIK4 배내측 신경의 활성도가 증가하면서 각성효과가 유도된다.(출처=카이스트)
소리자극에 반응하는 GRIK4 배내측 신경. 소리자극이 주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GRIK4 배내측 신경의 활성도가 증가하면서 각성효과가 유도된다.(출처=카이스트)

카이스트는 생명과학과 김대수 교수 연구팀이 KIST(과기硏) 김정진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동물이 잠을 자는 동안에도 소리에 반응해 각성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잠을 자는 동안 감각신경의 작용이 차단되므로 주변의 위험을 감지하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동물은 잠자는 동안에도 포식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반응한다. (과학자들은 동물이 깊은 잠과 낮은 잠을 번갈아 자면서 언제 있을지 모를 위험에 대비한다고 생각했다.)

연구팀은 깊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동물이 소리에 반응하는 신경회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깨어 있을 때는 청각 시상핵 (Medial geniculate thalamus)이 소리에 반응하지만 깊은 잠 즉 비(非) 램수면 (Non-REM) 동안에는 배내측 시상핵(Mediodorsal thalamus)이 소리에 반응해 뇌를 깨운다는 사실을 밝혔다.

배내측 시상핵은 내뇌로 신호를 보내 각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수면중에도 소리에 반응해 포식자의 접근 등 위험에 대비하는데 기여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 쥐가 깊은 잠에 빠졌을 때 청각 시상핵 신경도 잠을 자고 있었지만 배내측 시상핵 신경은 깨어 있어 소리를 들려주자 곧바로 반응했다. 또 배내측 시상핵을 억제하면 소리를 들려줘도 쥐가 잠에서 깨어나지 못했으며 배내측 시상핵을 자극하면 소리 없이도 쥐가 수초 이내에 잠에서 깨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감각 자극을 통해 각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을 밝힘으로써 디지털 헬스케어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깊은 수면 동안에는 청각신경이 뇌간신경을 통해 배내측시상으로 소리신호를 보내어 뇌의 각성을 유도한다..(출처=카이스트)
깊은 수면 동안에는 청각신경이 뇌간신경을 통해 배내측시상으로 소리신호를 보내어 뇌의 각성을 유도한다..(출처=카이스트)

이것은 수면상태와 각성상태가 서로 다른 신경회로를 통해 청각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는 최초의 연구로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Current Biology)’에 2월 7일자에 보고됐으며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3-00354-0)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하이라이트 되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3-00354-0)

김대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 질환 등 다양한 뇌 질환에서 보이는 각성 및 감각장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향후 감각을 조절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