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후위기
  • 입력 2022.12.02 14:22
  • 수정 2023.03.18 11:38

[기후행동 1.5°C 캠페인] (19)SK에코...‘600조원 성장’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 선점하라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고도화해야 ··· ‘저비용·고효율’ 희소금속 추출 공정 협력 강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 대표, 이대혁 테스 총괄이 협약 체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출처=SK에코플랜트)
(왼쪽부터)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 대표, 이대혁 테스 총괄이 협약 체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출처=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가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역량 고도화를 위해 협력강화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전기·전자폐기물 리사이클링 전문기업 테스,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함께 ‘배터리 재활용을 포함한 자원순환 공동기술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 대표와 이대혁 테스 총괄,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등 각 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을 통해 각 사는 폐배터리를 비롯한 미래 폐자원의 재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하게 된다.

SK에코플랜트와 테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을 포함한 미래 폐자원 재자원화 사업 발굴 △폐자원의 재자원화 기술개발을 통한 상호 협력 등을 통해 각 회사별 특성이 반영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각 사는 폐배터리에서 저비용 고순도의 희소금속 회수를 위한 용매추출 공정(용매를 이용해 희소금속을 뽑아내는 기술)의 고도화를 함께 추진한다. 기술 노하우 공유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영화 핀치는 태양 슈퍼 플레어로 오존층이 파괴돼 사막화된 지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출처=영화 '핀치')
영화 핀치는 태양 슈퍼 플레어로 오존층이 파괴돼 사막화된 지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출처=영화 '핀치')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폐배터리, 광물 등 폐자원에서 금속을 회수하는 연구를 비롯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2050년 600조원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테스는 폐배터리 회수는 물론 전처리, 후처리와 같은 재활용 및 재사용 등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과정의 전 부문에 걸친 기술력을 확보해 우월한 입장이다.

현재 싱가포르, 프랑스, 중국 등에서 폐배터리 재활용 처리 시설을 운영한다.

싱가포르 테스(TES)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폐배터리로부터 추출된 흑연을 프레스필터에서 긁어내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싱가포르 테스(TES)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폐배터리로부터 추출된 흑연을 프레스필터에서 긁어내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제공)

테스가 보유한 기술력에 더해 최근 미국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혁신기업 ‘어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에도 투자했다. 폐배터리에서 불순물만 따로 제거한 후 전구체(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기초 재료)까지 바로 생산하는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다.

SK에코플랜트는 폐배터리에서 회수한 희소금속을 배터리 원소재로 공급, 활용하는 등 완결적순환체계(Closed Loop)를 실현하고,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을 확장함으로써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확보할 계획이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 대표는 “기업과 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미래 폐자원 재활용 기술의 기반을 조성하고 핵심광물의 자원 안보를 극대화 한다는 데 이번 협약의 의의가 있다”며 “SK에코플랜트는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넘어 지속 가능한 자원의 순환체계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