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6 18:03 (금)

본문영역

비탈에 선 탈원전 ...학계 “전력공급 안정성 위해 ‘원전' 반드시 살려야”

"저탄소 가려면 원전 살려라"...대한경영학회등 추계연합학술대회 열어
문형남 교수 “글로벌 ESG투자 35조 달러, 미국등 5개 주요국투자 자산 3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가 “ESG 리터러시와 ESG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주제 발표를 했다.(사진=강유빈 기자)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가 “ESG 리터러시와 ESG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주제 발표를 했다.(사진=강유빈 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가 탄소중립을 위해서도 원전발전을 확대하라는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전력공급을 신재생에 절대 의존한 채 밀어붙인 탈원전 정책은 지속가능경제와 전력공급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크다는 학계의견이 강하게 제기됐다.

이에따라 내년봄 대통령선거를 계기로 결과가 어떠하든 새 정부가 들어서면 현 정권의 탈원전 정책이 수정내지 폐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프랑스 등 유럽은 물론 일본, 중국 등 대다수의 나라는 우리나라와 달리 원전 건설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원전없는 탄소중립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탈원전을 유지하면서 정부방침대로 2030년 온실가스를 40% 감축한다는 것은 국내 산업계를 파멸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이런 내외 환경에서 대한경영학회와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파우아교육협력재단이 지난 26일 ‘4차산업사회시대의 디지털 사회 혁신’을 주제로 연 추계공동국제학술대회가 주목을 끌었다.

이영한 서울과기대 교수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국제 비교 분석’논문을 통해 “현재 데이터상 우리나라의 신재생 에너지는 전력공급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기술에 투자하면서 원전 비율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며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원전과 재생에너지와 신기술이라는 요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원전 신재생에너지 등 발전원별 적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에너지믹스’는 우리 경제의 생존과 산업의 경쟁력 유지의 전제 조건이라고 밝혔다.

이어 진행된 ESG세션에서 숙명여대 문형남교수(차기 대한경영학회 회장)는 최근 국내외 경영계에서 화두가 되고있는 ‘ESG 리터러시와 ESG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6월19일 한수원 고리 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  탈원전을 선언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6월19일 한수원 고리 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 탈원전을 선언했다.(사진=청와대 제공)

ESG 리터러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마찬가지로 ESG의 개념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문 교수는 현재 글로벌 ESG 투자는 35조3000억 달러로 미국 등 5개 주요국 투자 자산의 36%를 차지하고있으며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사회-투명경영, 즉 ESG가 개별 기업을 넘어 글로벌 자본시장과 국가경제의 성패를 가를 키워드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 교수는 “ESG는 4차산업혁명과 맞먹는 중요한 변화다. 국가-사회 경영전반에 걸쳐 ESG가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기업들이 많이 도입했는데 그 다음 단계로 ESG 트랜스포메이션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특별 세션에서 이혜주 국가ESG연구원 공동대표는 “ESG 산업 패러다임에서 한국의 스마트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이 대표는 “기업은 사회정체성의 바다 위에 떠있는 배와 같다”며 국제사회의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기업 역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이라는 대립항을 서로 충돌시키지 않고 유연성 있게 나아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