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3D기술로 완성차·티타늄 흉곽 제작...신체 이식도

중국애 크게 뒤져...국내 산업계 긴장 “AI격차 再版 돼서는 안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대병원 의료진이 3D기술을 활용해 순수 티탐늄으로 만든 인공가슴뼈(출처=중앙대 병원)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1. 중국은 4차산업혁명 핵심 요소인 3D 프린팅으로 자동차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3D프린팅으로 만든 만큼 구조물은 매우 가볍고 안정적이라는 평가다.

그동안 자동차 주요 구조물 제작에 도입됐을 뿐인 3D프린팅 기술로 완성차를 만드는 수준에 이른 것이다.

반도체에서 우리나라에 뒤진 중국이 AI분야처럼 3D프린팅 기술에서 크게 앞선 것으로 밝혀지자 국내 산업계는 긴장하는 분위기다.

알리바바(A), 바이두(B), 텐센트(T) 등 IT 3강 ‘ABT’가 앞장서 이끄는 중국 AI기술은 우리나라를 훨씬 넘어 2030년 미국을 제친다는 목표를 향해 진군하고 있다. 3D기술이 이 뒤를 이어 중국 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3D 프린팅은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을 창출할 핵심기술로 평가받아 여러 선진국 친환경 자동차 생산공정에 활용되고 있다.

#2. 중앙대병원 의료진이 국내 최초로 티타늄 소재의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인공가슴뼈를 암환자에게 이식하는데 성공한 게 2년전이다. 전세계적으로 3D프린팅 인공흉곽 이식수술에 성공한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6곳뿐이다.

박병준 중앙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흉골(가슴뼈)과 늑골(갈비뼈)에 종양이 생긴 55세 남성환자에게 3D프린팅 기술로 만든 티타늄 인공흉곽을 이식했다.

이 환자는 흉골과 늑골에 악성종양인 육종이 생겨 가슴뼈를 잘라내고 새로운 뼈를 이식하지 않으면 6개월 안에 사망할 정도로 병세가 위급했다.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한 영화 ‘아일랜드’의 또 다른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2월 미국 부동산 매물 사이트 질로우닷컴에 나온 3D주택(출처=SQ4D)

3D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소재개발이 필수적이다.

정부가 3D기술 활용을 위해 경쟁국들에 비해 늦었지만 본격 나선 건 다행이다.

과기정통부, 산업부, 국방부를 비롯 식약처 방사청까지 포함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3D 프린팅 시장 수요 창출, 기술 경쟁력, 산업 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4일 ‘3D 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시행계획은 지난 2016년 12월 시행된 3D 프린팅산업진흥법에 의거해 수립한 제2차 3D 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2차년도 추진내용으로 모두 968억3000만원이 투입된다.

우선 3D 프린팅산업 현장 활용 가속화를 위해 214억5000만원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 투자성과가 민간투자 확대와 기술 확산 촉진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한국형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민간·수요 중심 기술 활성화와 산업 확산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의 산업적용과 시장창출을 위해서 산업용 부품 현장 실증기반을 통한 실증을 지원하고 건축물 대상 3D 프린팅 기술개발과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며 의료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임상실증을 지원한다.

3D 프린팅 사업화 성공모델 발굴을 위해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부품 공정개발을 지원하는 제조혁신실증 과제를 추진하고 제조혁신을 위한 공정개발 컨설팅, 데이터 기반 공정기술 지원, 다양한 산업 군에서 기술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맞춤형 제작을 지원하며 컨퍼런스·경진대회 등을 통한 인식개선·저변확대와 산업발전을 위한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과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를 운영한다.

정부는 차별적 기술력 확보를 위해 232억8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핵심 소재·장비·소프트웨어(SW) 기술을 자립화하고 잠재수요가 많고 기술선점이 필수적인 분야의 기술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한다.

초경량, 기능성 등의 차세대 소재를 개발하고 정밀·대형·맞춤형 장비를 개발하며 산업용 등 핵심 SW 국산화를 위한 요소 기술 및 플랫폼 기술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시장지향 응용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의료·바이오 혁신기술과 생활혁신형 고품질·맞춤형 제작기술, 제조혁신을 위한 신산업 응용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출처=과기정통부)

정부는 혁신·성장 중심 산업기반 고도화에 521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전문인재 양성, 제조혁신과 기업성장을 위한 인프라 및 기술표준·평가체계 고도화, 법제도 정비와 안전성 강화를 통해 혁신·성장을 촉진한다.

융합형 전문인재를 위한 대학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신소재분야의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추진하며 산업혁신을 위한 고급인재와 훈련과정 운영 및 재직자 교육을 통한 실무인재 양성을 지원한다.

스타트업 특화 원스톱 서비스를 지원하며 제조혁신 공정개발을 지원할 3D 프린팅 융합기술센터를 구축하고,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한 3D 프린팅 제작·공정지원센터를 구축해 운영하며 제조창업 지원 인프라인 메이커스페이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3D 프린팅 국제표준 선도를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과 국가기술표준 제정을 추진하며 소재 품질평가 규격 개발과 SW 품질 신뢰성 확보 가이드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한다.

조기 시장진출 지원을 위한 규제 혁신을 위해서는 의료기기 공동제조소 운영·실증을 추진하고 현장성 강화를 위해 3D 프린팅 분야 과정 평가형 자격 운영 과정 확산과 실기평가 개선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승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 3D 프린팅 기술이 새로운 성장 동력 및 혁신의 시발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요발굴, 인재양성, 기술개발 및 인프라 고도화 등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올해는 3D 프린팅의 제조혁신 수요발굴을 통한 시장 확대 및 3D 프린팅 관련 창업 활성화 등 산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3D 프린팅 이용 안전성 강화를 위한 대책 추진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