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6 18:03 (금)

본문영역

탈원전 강행...월성원전 3기 가동 중단 위기

사용후 핵폐기물 저장시설 포화...맥스터 건설 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성원자력단지(출처=한수원)

[e경제뉴스 노영조 기자] 탈원전 정책의 불똥이 사용후 핵연료 저장 시설 증설문제로 튀었다. 원전에서 사용하고 난 연료봉 등 사용후 핵연료(헥폐기물)를 보관할 시설이 없으면 원전을 가동할 수 없는 원초적 문제가 생긴다.

우리나라 탈원전 파생문제가 갈수록 태산이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오는 격이다.

가압경수로원전이 들어서있는 월성원전단지에는 폐쇄된 1호기 말고 2~4호기 등 3기가 가동중이다.

이 원전단지의 건식저장시설인 맥스터의 저장률(작년 9월 기준)은 96%에 달한다.

카이스트윤종일 교수(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부회장)는 “저장시설 건설에 최소 19개월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면 올 상반기 중에 건설결정이 나해야한다”고 말했다.

결정후 바로 착공하지 않으면 월성원전단지의 운영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2016년4월 맥스터 추가건설안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그해 일어난 경주지진사태, 그리고 탈원전 기치를 내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심의 결정이 차일피일 미뤄졌다.

지난해 11월 원안위에 맥스터 건설안건이 상정됐지만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한 상태다.

지난1월10일 열린 제113회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엄재식(가운데) 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특히 원안위 엄재식 위원장은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나온후 행시39회로 공직에 발을 디딘 전형적인  행정관료출신으로 원자력전문가라고 할 수 없다. 현재 원안위에서 원자력 전문가라면 이병령 박사 정도다. 이번 원안위는 전문성이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가 주류다.

우리나라가 아랍에미리트(UAE)로부터 수주해 완공시킨 운영허가까지 받은 바라카원전의 안전성문제가 제기되는가하면 원전 전문업체인 두산중공업이 대규모 감원을 시작하는 등 원자력업계가 어수선한 가운데 탈원전 부작용이 속출하고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방사성폐기물학회에 이어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 협의회(에교협)가 25일 "월성 1호기의 재가동을 추진하고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맥스터)을 증설하라"고 주장했다.

에교협은 전국 61개 대학 교수 225명이 참여하는 에너지전환(탈원전) 정책 비판 단체다.

에교협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월성 1호기는 국민 안전과 지속가능한 환경에 문제가 없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경영 정상화에 필요하다"며 "월성 1호기의 재가동을 즉시 추진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에교협은 "월성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맥스터) 포화 시점을 임의로 연장해 국민 안전과 안정적 전력 수급을 위협한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재검토위원회(재검토위)의 월권적 결정을 취소하고, 한수원은 즉시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승인한 증설에 착수하라"고 촉구했다.

재검토위가 지난 12일 사용후핵연료 시설 포화 전망 시점을 2022년 3월로 4개월 연장한 것은 월권이며, 재검토위의 역할은 맥스터 추가 건설에 대한 주민 설득에만 한정돼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