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9 18:34 (금)

본문영역

건설정보관리 IT시스템의 ‘성공조건’

[칼럼]박시훈 조달청 토목환경과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보기술(IT)의 발전에 따라 사무자동화를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 하려는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 건설업의 하드웨어(hardware)라 볼 수 있는 시공분야는 상당한 수준에 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공사비 산정방식, 직종코드분류, 공종체계 등의 건설정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 운용분야는 IT기술의 접목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분야로 볼 수 있다.

과연 어디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 건설정보화의 핵심인 건설CALS(건설사업지원 통합정보시스템) 프로세스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건설CALS 프로세스는 공정-공사비와의 상관관계 및 비용분석에 대한 업무 비중이 크다. 공사비와 관련된 정보유통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온전한 건설CALS를 기대 할 수 없다.

그래서 국토해양부에서는 공정-공사비 체계 간에 건설정보를 유통할 수 있는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를 발표했지만 상호 연계성이 부족하고 건설사업 관리와 공사비적산에 적용하는데 활용가치가 매우 낮아 실질적으로 건설CALS 업무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민간 기업에서도 IT흐름을 타고 ‘건설사업 관리시스템(PIMS)’과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내실을 거두지 못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이는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한 초기에 공사비를 산정하는 많은 소프트웨어가 독자적으로 개발돼 규격이나 구조 등 알고리즘(algorithm)이 다른 시중 건설정보 데이터를 호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건설정보 분야의 화두가 되고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살펴보자. BIM은 건설산업과 IT기술을 융합, 건설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최신의 건설정보 통합기술이다. BIM은 각 작업자에게 정보들이 공유되고 협업하는 Open BIM방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BIM의 특성 때문에 작업이 능률적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건설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데 이러한 BIM의 특성은 개별 사업에 국한 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데이터의 범용성 및 호환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BIM이 국내 건설시장에 연착륙하는데 가장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조달청은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 10년 전부터 시중에서 생산·유통되고 있는 건설정보와 호환할 수 있는 통합원가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운용하고 있다. 결국 조달청은 정부공사를 발주하면서 통합원가관리시스템을 통해 공사비 내역서, 설계도면 등과 연계된 표준 데이터 구조와 생산, 관리, 보급하고 시중 유통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그 중심에 설 수 있게 됐다.

따라서 통합원가관리시스템을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에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통합원가관리시스템에서 생산되는 건설정보 데이터를 건설사업의 기획, 설계, 계약, 시공, 유지관리 등에 건설사업 관련자가 공유할 수 있다면 우리나라의 건설CALS업무의 전망은 희망적이다. 국내 건설업계의 아킬레스건인 건설정보화 성공의 전제조건은 시스템 구축과정의 상호 호환성과 표준화라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