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녹색기술센터, “국제 탄소발자국 규제,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중심 이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체 공급망 배출량 이미지 (사진=유럽연합 위원회 제공)
전체 공급망 배출량 이미지 (사진=유럽연합 위원회 제공)

탄소중립 국제표준이 배출량 관리에서 벗어나 전과정평가 관점의 조직 및 제품에 대한 배출량 산정을 강조하는 추세다. 무역장벽으로 인한 국내 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온실가스 관리뿐만 아니라 전체 수출 품목의 탄소발자국 산정이 선제적으로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녹색기술센터(GTC)는 오는 10월 발간 예정이었던 ‘GTC BRIEF 3-8호 : 탄소발자국 국제표준화 및 정책 동향’을 최근 공개, 급변하는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계 차원의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신규 제정 중인 탄소중립 표준안은 배출권거래제에서 다루고 있는 직접 및 간접(에너지 사용) 배출량 개념을 넘어서, 조직 운영 및 제품 전과정 동안 발생하는 배출량을 포함하고 있다.

ISO가 재작년부터 제정 중인 ‘제품 및 조직의 탄소중립 정량화를 위한 표준’ 규격은 탄소중립 적용 범위, 관리 조직, 외부 감축 노력의 인정 및 활용, 검증 방안과 더불어 탄소중립을 달성했음에 대한 외부 의사소통 방안 등에 대한 표준을 개요로 한다.

또 유럽연합(EU)이 지난 6월 발표한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 수정본은 집행위원회 초안과 달리 기존 5대 품목(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생산) 외에 유기화학, 플라스틱, 수소, 암모니아 등 4개 품목을 추가하고, 전기 생산에 따른 간접배출량도 고려하는 것으로 확대됐다.

이는 EU의 CBAM이 현재까지는 전력 소비로 인한 간접배출량만 고려하고 있지만, 향후 배출범위를 전체 공급망 차원의 간접배출량으로 확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GTC 측은 “국제 규제가 향후 무역장벽으로서 산업계에 미칠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며 “산업계는 수출 품목에 선제적으로 탄소발자국을 산정해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출량까지 관리 가능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내 기업 중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공개한 ‘2022년 넷제로 특별보고서’에서 전체 공급망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계열 내 모든 사업회사에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15일 핀테크 업계 최초로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을 획득, 전 부문이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제3자 검증을 시행하고 있다.

한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제 탄소규제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총 120개 제품군에 대한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을 국제기관이 제시한 방법론에 맞춰 개발함으로써 해외 상호인정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e경제뉴스 석혜진 기자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