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뉴스
편집 : 2024-03-29 18:34 (금)

본문영역

북한의 과학기술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6년 7월 무수단리 기지에서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발사했다. 당시 국제사회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연일 규탄하며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제재 권고안을 담은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를 채택했다.

그 당시 가장 뜨거운 감자는 ‘북핵’ 존재여부였다. 대북전문가들은 북한의 핵기술 능력에 대해 격론을 벌였다.

불가능하다는 쪽으로 기울었다. 식량난으로 백성이 굶고 있고, 자전거 부품 수 만 해도 1400개 이상, 자동차는 2만개가 넘는데 조악한 공산품을 보아서는 불가능하다는 쪽이 더 설득력을 얻었다. 그러나 3개월 뒤 북은 1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당시 포착된 핵실험은 리히터 규모 3.9로, TNT 폭탄 1000t에 맞먹는 위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전문가들은 더 이상 할 말이 없었다.

나는 일찍부터 북의 핵기술력에 불안해했다. 리승기란 과학자의 존재 때문이었다. 해방 후, 한반도엔 천재 과학자 3총사가 있었다. 리승기, 이태규, 정의택.

정의택은 많은 수학 저서를 남기며 수학의 체계를 세운 인물이다. 이태규는 미국으로 건너가 아인슈타인과 교유하며 한국인 첫 노벨상에 도전한 천재 화학자였고, 국내 처음으로 과학자로서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문제는 6·25때 북으로 간 화학공업분야 최고 수재 리승기박사였다.

동경대 총장과 일본 원자력산업회회장을 지낸 일본의 무카이보 타카시는 1936년부터 경도대학에서 강의한 리승기를 이렇게 회고했다고 한다. 타가시는 리승기 이야기가 나오자 옷깃을 여미며 정좌하고 예를 취한 뒤, “그분은 내가 아는 최고의 스승입니다. 조선인으로서 일본 천황 앞에서 강의할 정도니까요. 우리는 동경대 학생으로서 그분의 강의를 듣기위해 밤새 차를 타고 경도대학 강의실에 도착했었죠.”

북한의 핵보유 기술력을 묻자 타카시는 “그분이 북에 계신다면 가능합니다”라고 했다.

1954년 필자의 선고 차일혁 경문관이 충주경찰서장 재직시설, 충주에 화학비료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마경석씨가 찾아왔다. 마경석씨는 리승기 박사의 수제자로서 나중에 방북하여 애국열사능에 묻힌 리승기 박사를 추모한 적이 있다. 마경석씨의 리승기 박사에 대한 증언 또한 타카시와 다를 바 없었다. 리승기가 있으면 가능하다는 것.

리승기는 누구인가. 우리는 리승기를 비날론을 창시한 한국인 최초의 공학박사라고만 알고 있다. 하지만 그는 일본 태평양전쟁 때, 경도의 원자탄 개발 연구팀 핵심 멤버였던 적이 있다. 세계 제2차 대전 당시 미국, 독일, 일본은 원폭 개발에 총력을 기울였다.

시작은 독일이 가장 먼저 했다. 나치 독일은 아인슈타인 이래 최고의 천재 물리학자라는 하이젠베르그를 통해 원폭개발을 진행했으나 노르웨이 시설을 연합군이 폭격함으로써 무위로 돌아갔다. 반면 미국은 맨해튼 계획을 통해 원폭을 가졌다.

일본은 뒤늦게 뛰어들었다. 첩보를 입수한 미국이 여러 의심 지역을 폭격했지만 경도 지역은 폭격을 면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일본 항복 선언이 6개월만 더 늦추어졌더라도 원폭을 가졌을 것이라고 회고하기도 한다.

훗날 리승기의 일본인 제자 6명이 노벨상을 받았다. 리승기는 바로 동양 원자학의 아버지였던 것이다. 북한이 전쟁이 터지자 가장 먼저 리승기를 납북한 이유이기도하다.

백성이 굶주리고 생필품이 조악한 북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핵개발이 가능한 이유는 과학자에 대한 우대와 투자 때문이었다.

인재(人才)는 인공위성에 포착되지 않는다. 정보력은 눈으로 보는 것 이상이어야 한다. 북은 지금 광명성3호 발사를 시도하고 있다. 북측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를 당황하게 만들 또 다른 모종의 깜짝 쇼를 준비할지 모른다.

차길진 후암미래연구소 대표 www.hooam.com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