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방대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및 민간 개방...플랫폼 개통

건보공단·심평원·질본·국립암센터 데이터 통합 제공...개인정보 비식별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복지부)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그동안 보건의료 관련 공공기관들은 각각 자기 영역의 데이터를 보관, 관리해왔다.  약 처방과 진료내역은 심평원이, 건강검진은 건보공단이 맡아왔다. 데이터는 많지만 기관별로 분산된 결과 데이터를 연계한 종합적인 연구는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런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연계할 수 있게됐다. 

또 건보공단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막대한 양의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대한 민간 연구기관 및 일반인들의 접근이 가능해졌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정책연구 등 공공 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덕이다. 

보건복지부는 17일 보건의료계의 숙원인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통했다.

이 플랫폼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4개 공공기관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연계해 의학연구·정책개선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구축한 정보시스템으로 국민건강 향상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연구에 활용된다.

핵심 기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안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신청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확인 ▲공공기관 간 데이터 연계·교류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기능 등으로 보건의료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 플랫폼에서는 국민 누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주제 등을 제안할 수 있고, 보건의료분야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국민이 제안한 연구과제 중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제는 소관부서 및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실제 정책연구나 연구개발(R&D) 사업 등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연구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관련 상세 정보를 얻고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편람(카탈로그)`을 내려받아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범위, 형태, 종류 등을 확인하여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질의답변 등 안내도 받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연구과제의 공공성 심의 및 기술검토를 거쳐 연구자에게 데이터가 제공된다.

민감한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만큼 공공기관 간 자료 전송 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전용회선(행정망)을 활용해 암호화한 자료를 주고받는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에 개인정보를 알아볼 수 없도록 기술적 조치(비식별조치)를 취했다.

연구자는 이를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폐쇄된 연구공간을 통해서만 열람·분석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은 연구자들의 데이터 열람·분석 등 지원을 위해 전국 11개 도시에 15개 분석센터를 운영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1차 플랫폼 개통을 시작으로 공공기관 간 플랫폼 기능보강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 공공기관과 협력해 개방대상 데이터 및 개방 범위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오후 2시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개최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식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윤종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김승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박능후 장관은 "이번에 개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첫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