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일 무역분쟁...“전자산업 패권, 중국으로 이동”

한경연 세미나 “맞불 대응이나 불매운동, ‘죄수의 딜레마에 빠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일 양국이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TO 상품무역이사회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백지아 주제네바대표부 한국대사(가운데 오른쪽에서 세 번째)와 이하라 준이치 주제네바대표부 일본대표부 대사(가운데 맨 오른쪽)의 모습이 보인다. (사진= NHK 영상 캡쳐)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일본 정부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필수 소재 수출 규제 강화로 촉발된 한일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면 전기전자 산업의 지위가 중국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사자인 한국과 일본은 피해를 입고 중국만 중간에서 어부지리를 얻는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개최한 '일본 경제 제재의 영향 및 해법' 긴급세미나에서 나온 전망이다. 

권태신 한경연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 외에도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생태계 전반에 파급 효과가 미칠 것"이라며 "특히 미중 무역전쟁과 생산성 저하로 이미 성장이 둔화된 한국경제에 새로운 하방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 원장은 또한 "맞불 대응이나 불매운동 등 감정적 대응을 우선하는 분위기를 우려한다"며 "기업 신용강등이나 성장률 저하에 이르기 전에 한일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반도체 산업 부문의 발제를 맡은 이주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일본 소재 수입 승인절차가 90일이 소요돼도 허가만 된다면 최근 불황으로 인한 반도체 칩 및 소재 재고 소진과 생산량 감축 등을 통해 생산 체계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일본이 승인자체를 불허할 경우 산업 전반의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산업 특성상 같은 스펙의 제품이라도 거래기업을 변경할 경우 미세한 차이만으로도 공정이 불가능하거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대체 물질이나 대체 공급자로 100% 전환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토론에서 노근창 현대차증권 센터장은 일본에 100% 의존하는 프리미엄 핵심소재는 특허 이슈로 인해 국산화가 어렵다는 데 동의하면서 국내기업이 이달 초부터 일본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추가 물량은 많지 않을 것이라며 생산차질을 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를 우려했다.

발제를 맡은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모의실험을 통해 한일 무역분쟁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했다. 그는 "한일 무역분쟁은 관세부과로 대립하는 일반적 무역전쟁과 달리 상대국 핵심 산업의 필수 중간재 수출을 통제해 공급망을 붕괴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세전쟁은 국내 기업이 대응할 여지가 존재해 0.15%~0.22%의 GDP 손실에 그칠 것으로 평가되지만 생산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게임은 국내 전후방 산업효과 외에도 수출 경쟁국의 무역구조까지 변화시키므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훨씬 큰 분쟁 형태'라고 강조했다.

이를 반영해 일본 수출규제만 존재할 경우와 한국이 반도체 및 관련부품 수출규제로 맞대응할 경우의 두 가지 시나리오로 결과를 도출했다. 일본 수출규제로 반도체 소재가 30% 부족한 상황이 된다면 한국의 GDP는 2.2% 감소하는 반면 일본의 GDP는 0.04%로 피해규모의 차이가 크다.

한국이 수출규제로 대응한다면 한국과 일본은 각각 GDP 3.1%, 1.8% 감소로 손실이 확대된다고 전망했다. 기업이 물량 확보에 실패하여 부족분이 45%로 확대될 경우 한국의 GDP는 4.2%~5.4%로 손실이 더 크게 나타난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이 보복할 경우, 한국과 일본 모두 GDP 감소하는 죄수의 딜레마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국의 보복이 강화될수록 일본의 GDP 감소폭은 줄어들게 되며 그 이유를 일본 내 독점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약한 한국 수출기업을 일본 내수기업 또는 중국 기업 등이 대체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특히 조 선임연구위원은 "한·일 무역 분쟁으로 확대될 경우 최대 수혜국은 중국이 될 것"이라며 "미국의 GDP 증가는 미미한 수준(0.03%)이지만, 중국의 GDP는 0.5~0.7%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이 주도하던 전기·전자산업의 경우 한국의 생산이 20.6%, 일본의 생산이 15.5% 감소하는 반면 중국은 2.1% 증가하게 되어 독점적 지위가 중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