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인터넷여론...집단지성인가 ‘바보들의 행진’인가

"정보 장악한 소수가 가짜뉴스를 집단지성으로 바꿔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구결과 소수 기여자가 거의 독점적으로 컨텐츠를 생산하고 있으며, 새로운 유저는 이런 독점적 유저의 카르텔에 진입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출처=KISTI)

[e경제뉴스 노영조 기자] 이른바 광장의 소리는 집단지성이 아니라 ‘바보들의 행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집단지성은 여러 개체가 협력과 경쟁을 통해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과 결과를 말한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소수의 힘만으로도 여론을 쉽게 독점할 수 있다는 사실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경남과기대·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인터넷 백과사전·논문·특허 등 진화 양상을 살펴 집단지성 형성과정의 규칙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18일(한국시각) '네이처 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ur)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팀은 또 모든 집단지성에서 지속적으로 소수의 영향력이 커지는 지식의 독점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연구팀은 그 이유를 찾기 위해 복잡계 방법론으로 대규모 집단지성 파악을 시도했다.

매우 복잡한 데이터에서 규칙성을 찾는 게 골자다.

연구팀은 먼저 273개 언어로 쓰인 863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각각 성장을 측정해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데이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 속도가 둔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데이터에 살을 붙이는 신규 구성원의 유입이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현상이 '독점 영향'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어 구성원 사이의 기여 불평등을 정량화해 불평등 지수(Gini index)를 추적했다.

그랬더니 소수의 독점적 영향력이 향상하면서 구성원행동을 대부분 지배하는 '독점화 현상'이 발견됐다. 지식이 축적될수록 지식 생성 불평등 지수가 높아졌다는 뜻이다.

독점 집단은 집단지성 생성 초기에 나타나 지속해서 영향력을 미쳤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신규 구성원이 이런 독점 계층에 진입하는 건 거의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불평등 창발 현상을 재현하는 행위자 모형을 설계했다.

이 모형을 대입하면 지식이 축적될수록 미래의 집단지성 지식 독점이 더 심해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예측됐다.

오프라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보였다. 논문과 특허가 많이 발표된 국가일수록 소수 연구자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신규 참여가 더 쉽다고 알려진 인터넷 백과사전이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진 논문과 특허보다 더 독점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역설적 현상 또한 있었다.

KISTI 윤진혁 박사는 "진입장벽과 규제가 없는 경우에 더 쉽게 소수가 독점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며 "현 상태를 방치한다면 온라인상 정보가 소수에 의해 독점돼 왜곡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박사는 소수의 독점화를 줄이려면 새로운 참여자들의 적극적 활동을 지원하고 독과점에 대해 제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