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금융사기 ‘보이스피싱’...하루 피해자 116명꼴

상반기 2만1006명, 1802억원 피해…40~50대 남성엔 대출 빙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경제뉴스 김성훈 기자] #1.사기범 A는 지난 5월 모 은행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 B씨(50대 남성)에게 저금리로 대출해주겠다고 접근했다. A는 B씨의 신용도가 낮기때문에 대출금 일부를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 3%대 대출이 가능하고 속였다. B씨가 사기범A가 알려준 계좌로 기존 대출금 3000만원을 입금하자A는 이를 인출해 잠적했다.

                                <피해 유형>

보이스피싱 사기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피해액이 1년 전보다 70% 넘게 급증했다.

매일 116명이 10억원(1인 평균 860만원) 전화금융사기를 당하는 셈이다.

사기꾼들은 피해자에게 연령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출빙자와 정부기관 사칭 등의 방법을 써 접근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802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보다 73.7%(764억원) 증가했다.

피해자는 2만100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6.4%(7573명) 늘었다.

대포통장(보이스피싱에 이용되어 지급정지된 계좌)은 2만6851건으로 27.8%(5839건)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대출빙자형이 1274억원(70.7%)으로 가장 많았고 ▲정부기관 사칭형이 528억원(29.3%)이었다.

대출빙자형은 고금리 대출자에게 전화해 저금리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고 접근하는 방식이다.

피해자가 관심을 보이면 기존 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야 신용도가 올라가서 저금리대출이 가능해진다며 자신들의 계좌로 입금하게 한다.

대출빙자형 피해자는 40∼50대 남성이 494억원(39.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351억원(27.9%)이었다.

(출처=금감원)

정부기관 사칭형은 자신이 검찰 수사관인데 피해자 명의가 사기 사건에 도용됐다고 속이며 접근한다.

이 과정에서 이메일로 가짜 사건 공문과 가짜 신분증 사본을 보내 악성 앱을 깔게 한다.

이어 금감원 1332로 전화해 피해 금액을 확인하라고 하는데, 이를 따르면 악성 앱을 통해 금감원을 사칭한 다른 사기범에게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사기 사건과 관련 있는지 계좌 조사가 필요하다며 돈을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정부기관 사칭형 피해자 중엔 20∼30대 여성 비중이 34.0%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고령층도 31.6%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금리 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정보를 가지고 저금리로 바꿔주겠다며 접근하는 데 속는 경우가 많다"며 "보이스피싱 사기단의 수법이 갈수록 진화해 피해자도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보이스피싱에 당하지 않으려면 누구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을 항상 명심해야 한다고 금감원은 조언했다.

검찰, 경찰, 금감원을 사칭해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거나 금융회사를 사칭해 대출을 해준다면서 돈을 보내라는 전화를 받으면 일단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대방 소속기관, 직위 및 이름을 확인한 후 일단 전화를 끊는 것이 최선이다.

이후 해당 기관 공식 대표번호로 직접 전화해 사실관계와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

이스피싱 사기범에 속아 피해를 봤다면 바로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회사 등에 신고해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