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4 23:54 (수)

본문영역

합계출산율 1명이하로 추락

가임여성 평생 아이 한명을 채 낳지 않는 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통계청)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어린아이 우는 소리 듣기가 점점 힘들어진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기가 35만명대로 추락하면서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1.05명을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하락세가 지속돼 올 2분기 기준 0.97명으로 떨어졌다. 가임여성이 평생 낳는 아이가 채 1명도 안된다.

출산연령이 높아지면서 아이를 낳는 여성 중 35세 이상이 3명 중 1명 수준으로 증가한 데다 결혼 후 첫째 아이를 출산하는 시기도 늦춰졌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년 출생통계(확정)`에 따르면 작년 출생아 수는 35만7800명으로 전년 (40만6200명)보다 4만8500명(11.9%) 감소해 1970년 관련 통계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저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감소폭도 2001년(-12.5%) 이후 1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떨어졌다. 역시 전년 1.17명보다 0.12명(10.2%) 급감해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인구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인데 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을 크게 하회하는 것은 물론 압도적인 꼴찌다.

여성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4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여성인구 1000명당 출산율이 20대 후반(25∼29세) 47.9명, 30대 초반(30∼34세) 97.7명, 30대 후반(35∼39세)은 47.2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8.5명(15.1%), 12.4명(11.3%), 1.5명(3.1%)씩 일제히 감소했다.

반면 40대 초반(40∼44세)은 6.0명으로 전년보다 0.1명(1.7%) 늘어났다.

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1000명당 출산율이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추락했다.

평균 출산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2세 높아졌다. 만혼 풍조 탓이다.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은 29.4%로 전년보다 3.0%포인트 상승했다. 2007년 35세 이상 고령산모 비중이 13.1%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상승속도가 매우 빠르다.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67명)이었고 전남(1.33명), 제주(1.31명) 순이었다.

서울(0.84명), 부산(0.98명)의 합계출산율은 1명 이하로 추락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서울(33.3세)이 가장 높고, 충남(31.8세)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전남 해남군(2.10명)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 종로구(0.65명)에서 가장 낮았다.

합계출산율이 대체출산율(2.1명, 현재 인구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을 넘는 지역은 해남군이 유일했다.

전국에서 산모의 출산연령이 가장 높은 기초단체는 서울 서초구(33.92세)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