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편집 : 2024-04-24 12:01 (수)

본문영역

  • e금융
  • 입력 2018.06.18 09:52
  • 수정 2018.06.18 10:34

주택담보대출 금리 연내 5% 넘는다

가계 빚, 국내 경제 최대 불안요인...시한폭탄 비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경제뉴스 이춘영 기자] 가계 빚이 1500조원에 이르는 가운데 서민들이 많이 이용한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내 연 5%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어서 가계 빚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라는 우려가 커지고있다.  이제 가계부채는 국내 경제 최대 불안요인으로 부상했다.

가계부채가 1500조원에 육박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내 5%를 넘을 전망이어서 가계 빚이 최대 경제불안요인으로 부상했다.

지난해 한국의 가계 빚 규모는 처분가능소득의 1.6배에 달했다.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한국의 가계신용(가계 빚)은 가계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연금 비용 등을 제외한 금액)의 159.8%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보다 5.2%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처분가능소득의 1.6배가량 빚을 지고 있다는 뜻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2013년 133.9%에서 지난해까지 4년간 25.9%p 높아졌다. 처분가능소득은 2013년 761조원에서 지난해 908조원으로 4년 동안 19%가량 증가했다. 반면 가계신용은 2013년 1019조원에서 지난해 1451조원으로 42%가량 급증했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 압박이 커지면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높아지고 있다. BIS가 산출한 한국의 DSR은 지난해 연평균 11.95%로 2012년(12.03%) 이후 가장 높았다.

DSR은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로, 가계가 빚을 갚을 능력이 얼마나 되는지 엿볼 수 있는 지표다. 가계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5년 만에 가장 커진 것이다.

지난해 말 한국의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94.8%로 세계 주요 43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1년 전보다 2.2%p 상승한 것으로 중국(4%p)과 홍콩(3%p)에 이어 상승폭은 세번째로 높았다.

분기별로 봐도 지난해 4분기에는 3분기 대비 0.6%p 올라가며 홍콩(1.3%p), 호주(0.9%p)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아르헨티나, 칠레, 싱가포르 등과 같은 순위를 기록했다.

올들어 미국이 기준금리를 두차례 올렸고 올해 두 번 더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에 따라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내 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변동형 금리에 노출된 가계의 이자 부담도 늘어날 전망이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