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5년간 드론 수요 3700대 창출...전용 비행장 건설

스마트공항으로 2022년까지 출국시간 17% 단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국토부)

[e경제뉴스 김성훈 기자] 정부가 글로벌 수준의 드론 인프라 구축을 위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을 건설키로 했다.

또 스마트공항 구축 종합계획을 추진해 2022년까지 출국 수속시간을 17% 줄이고 신규 일자리도 6320개 창출할 계획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8일 오전 광화문 KT 12층 회의실에서 제3차 회의를 열고 '드론 산업 기반 구축방안'과 '스마트공항 종합계획' 등 안건을 논의, 이같이 결정했다.

정부가 4차산업혁명 시대 신성장 동력으로서 드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 산업 생태계 조성 ▲ 기술 개발 ▲ 시장 창출 지원 ▲ 글로벌 수준 인프라 및 안전한 운영환경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국제 수준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시범사업 공역에 이착륙장과 통제실, 정비고 등 인프라를 갖춘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을 내년에 2개 등 순차적으로 조성하고, 전남 고흥에는 항공기급 무인기의 성능·인증 시험을 위한 국가종합비행시험장을 2020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본격적 무인항공 시대 진입을 위해 드론의 등록과 이력 관리부터 원격 자율·군집 비행까지 지원하는 '한국형 케이-드론(K-Drone) 시스템'을 개발·구축하고 세계시장 진출에 도전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를 통해 AI(자동관제), 빅데이터(기형·지상정보·비행경로 분석), 5G기반 클라우드(실시간 드론 위치 식별·공유)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적용한 첨단 자동관제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구현한다는 것이다..

사업용 드론 시장 성장을 위해 초기시장 창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공공분야에서 먼저 향후 5년간 3700여대(3000억원 규모)의 수요를 발굴해 드론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 여객 프로세스에 국한된 공항 서비스 개선이 아닌 여객의 전 여행경로, 공항 운영 전반을 개선하기 위해 공항에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공항 구축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공항 이용 편의 제고를 위해 공항까지 이동을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하고, 탑승 수속시간 단축을 위해 탑승수속·보안검색 과정을 첨단화한다. 스마트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 맞춤형 공항시설 안내 서비스도 제공한다.

빅데이터를 통해 여객 흐름을 예측해 효율적으로 공항 여객을 분산시키는 등 공항 운영 효율화에도 나선다.

공항은 신기술 시험장이 돼 체감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며, 공항이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주요 수요자로서 국내 기업 육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여객에게 VR 등의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난다.

스마트공항 추진으로 2022년까지 출국 수속시간을 17% 줄이고, 공항 확충 비용도 연간 2000억원 절감한다. 신규 일자리도 632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와 공항공사는 이번 계획을 토대로 스마트공항 추진을 위한 세부 과제들을 이행하고, 더 나아가 한국형 스마트공항의 해외 진출도 추진한다.

내년에 항행시설 점검용 드론(1월, 김포)과 외곽 경비용 드론(2월, 인천)을 도입하고, 하반기에는 인천공항 제2터미널과 장기주차장 간 자율주행 셔틀도 운행할 예정이다.

국내선 탑승 시 지문으로 신분증을 대체하는 생체인식 기반 탑승 수속 자동화도 내년 1월부터 김포와 제주 공항에서 시행된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