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강장묵의 굿모닝! 4차산업혁명 (2)] 종이화폐와 가상화폐는 어떤 차이를 가질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경제뉴스는 강장묵 공학박사의 칼럼을 '굿모닝! 4차산업혁명'이라는 타이틀로 연재합니다. 강박사는 남서울대학교 빅데이터산업보안학과 교수로 남서울대학교 빅데이터산업보안센터 센터장으로 재임하고 있으며, 현재 (사)인터넷방통통신학회 국제학술대회 운영위원장, 금융보안원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 위원으로 기술 및 BM 특허 100여개 등록 및 기술이전(발명가)전문가로 잘알려져 있습니다.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 대표이사,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교수(컴퓨터학과 및 정보창의교육연구소),주식회사 쌍용정보통신 시스템사업본부 컨설턴트,국가인권위 정보인권국 위원을 역임했으며 시사저널에 칼럼 '강장묵의 테크로깅'을 연재했습니다. 독자여러분의 애독을 바람니다. <편집주>

 

[e경제뉴스 강장묵 칼럼] 가상화폐는 일반화폐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가상화폐는 실체가 없다. 맞다. 가상화폐는 전자적으로 움직인다. 0과 1이라는 비트(bit)가 돈(coin)이 되어, 비트코인(bitcoin)인 것이다.

그렇다면 종이화폐와 가상화폐는 무엇이 다를까?

우선, 종이화폐는 정수개념이다. 예를 들어 1달러를 사지. 0.1달러를 사지 않는다. 물론 1센트가 있다. 우리 나라돈 역시 1원부터 시작해서 10원, 100원, 1000원, 5000원, 오만원 권까지 정수 개념이다. 반면 비트코인을 구매하면 소수점 8자리까지 살 수 있다.

즉 10^{-8}BTC = 0.000000010.00000001BTC를 구매할 수 있다. 돈을 구매하는데, 0.234비트코인을 구매한다는 것이 당황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비트코인 즉 가상화폐를 사지 않고 소수점으로 쪼개어사고 커피 한잔은 0.0000003만큼의 비트코인으로 구매할 날이 곧 올 것이다.

둘째, 가상화폐는 종이로 찍지 않는다. 종이로 찍은 화폐는 실제 돈을 만드는데 비용이 든다. 위조지폐를 막기 위해서이다. 심지어 우리나라돈 10원은 주화를 찍는데 드는 비용이 10원의 가치보다 높다. 자연스럽게 시중에 통용되는 돈이 종이든 주화든 우리의 손을 통해 세균도 묻히고 꾸깃꾸깃 접기도 하고 종이돈 위에 낙서가 들어가서 훼손된 돈을 거두어들이는데도 비용이 들어간다. 그러나 가상화폐는 종이라는 실체가 없다. 마치 우리가 인터넷 뱅크를 하듯 숫자가 전자 지갑에 가득하거나 줄어들 뿐이다. 그리고 소수점 8자리 수준에서 거래를 할 수 있다.

셋째, 가상화폐는 인쇄 기반의 위조 방지 기술이 없다. 물론 종이돈나 동전과 같은 실체가 없기 때문에 컬러 프린터기 또는 위폐 전문가의 손기술로도 가상화폐를 위조할 수 없다. 가상화폐는 오직 해킹에 의해 위변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 해킹이 분산장부 기술이라는 블록체인으로 인해, 거래가 늘어날수록 점점 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가상화폐의 해킹은 일시에 그간 거래에 관여한 모든 사람의 PC 또는 체인에 얽힌 블록을 위변조해야 한다. 현존하는 기술로는 불가능하고 장래 양자컴퓨팅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에나 가능하다. 물론, 블록체인 기술이 모두 완벽한 것은 아니다. 이 역시 채굴업자의 단합, 해쉬값을 조정할 수 있는 연합세력의 등장, 거래소의 불안정 등 여전히 위험은 존재한다. 그러나 대규모 전산 장비를 구비하고 세계 최고의 해커들로부터 표적이 되는 중앙 은행 시스템이 가상화폐보다 안전하다는 볼 수는 없다. 오히려, 그 많은 보안 장비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정책을 실시하고도 언제든지 발생가능한 금융사고를 고려해볼 때, 비용 대비 안정성에서 블록체인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통화량이 정해져 있다. 우리는 원화, 달러, 위안화의 통화량을 아는가. 금융당국도 알지 못한다. 한 나라의 통화정책은 국제 관계, 대외 수출, 내수 등 여러 가지 변수를 보고 그때그때 정책을 바꾸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 국가들이 자국의 사정에 따라 돈을 찍는다. 이렇게 찍은 돈은 국가가 신뢰를 담보하는 것이다. 실제, 돈을 찍은 만큼(통화량을 늘림) 금을 보유한다거나 어떤 실체를 담보로 하고 돈을 찍어내는 것이 아니다. 즉 국가의 통화정책에 따라 돈을 더 찍기도 하고 적게 찍기도 하는데, 국제 관계에서는 미국이나 유럽 또는 중국과 같은 큰 나라의 이익에 우리나라와 같이 무역 의존도가 높은 작은 나라는 휘청하게 된다. 국민 개개인의 경우에도 경기가 상승할 땐 이익을 나누어 불만이 적지만, 경기가 나빠지면 국가는 과연 이끼처럼 작고 연약한 국민을 위해 통화정책을 펼칠까. 국회와 정관계 등 실제 서민과 거리가 있는 생활을 하는 위정자들의 시야에서 대기업 등을 위해 통화정책을 펼칠까. 그럴 듯한 말로 치장되어, 대기업 또는 큰 돈을 가진 이들이 살아야 가난한 이도 잘 산다는 논리로 통화정책을 취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경기가 위축되거나 세상 살이가 팍팍해지면 어김없이 서민이 다친다. 그렇다면 이런 돈을 처음 만들 때부터 총량을 정하면 어떨까. 최근 비트코인이 급등하였다. 그 가치가 100배가 올랐니 1000배가 올랐니 투기 열풍이 대단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돈을 더 찍으면 될 것 같다. 그러나 이 투기 자산인 비트코인의 통화정책 또는 비트코인을 추가로 더 찍는다는 말은 없다. 왜 그럴까.
비트코인은 탄생할 때부터 총량을 정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발행될 모든 비트코인의 총량은 2100만 개다. 전세계인이 비트코인 1개를 보유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50억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 지구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정해진 총량, 이것에 대한 신뢰 때문에 비트코인이 폭등하게 된 부분도 있다. 미국은 달러를 마음껏 찍고도 미국 돈이라는 신뢰로 전세계 기축통화가 되었다. 과연 이것이 합리적인가? 시작할 때부터 돈의 총량을 결정하고 그 약속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인가. 대 전환의 시대가 다가왔다.

다섯째, 가상 화폐는 누구나 찍을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해 물론 기술도 필요하고 정책도 요구되고 전문가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가상화폐를 찍고 이를 통용시킬 수 있다. 만약 삼성이라면 삼성이라는 가상화폐를 찍을 수가 있고 문재인이라면 문재인화폐를 찍을 수가 있다. 이런 화폐를 시장에서 사용하고 여부는 오직 시장의 몫이다. 현재 가상화폐는 1천 여개 이상인 것으로 여겨진다. 가상화폐는 지역 또는 마을 화폐처럼 우리 동네 화폐 즉 서울 화폐 또는 신사동 화폐를 만들 수도 있다. 이처럼 세상 누구나 자신의 화폐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놀랍고도 신기한 일이 아닌가. 우린 금융법에 의해 은행사업도 할 수 없다. 그러나 18세기 사체업으로 시작된 금융 서비스가 실제로 당시에도 특정한 사람만이 할 수 있었을까. 우리의 법은 이해당사자들의 이기심과 사회 안전이라는 필요 등이 씨실과 날실로 결합된 것이지, 지금 체제가 반드시 절대적으로 옳아서인 것은 아니다. 즉 가상화폐는 이론적으로 누구나 돈을 만들 수 있고 유통시킬 수 있다. 반면 종이화폐는 어느 누구도 돈을 찍거나 만들 수 없다. 금융 시스템을 어지럽힌 죄인이 되는 행위다. 이처럼 가상화폐와 종이화폐는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체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같은 돈이지만 참 달라도 많이 다른 돈인 것이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