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 ESG경영
  • 입력 2017.05.04 14:23
  • 수정 2017.05.05 10:24

[소비자혁명(4)]글로벌트렌드, 생산-소비 변화 촉진

인구변화-기후변화-세계화 가속이 주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경제뉴스 장은재 기자]

국가, 조직, 개인 등이 밀접하게 관련되는 현재의 세계에서, 복잡 다단하게 일어나는 변화들이 순식간에 확산되며 글로벌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는 지능정보기술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생산과 소비를 변화시킨다. 국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① 인구구조의 변화, ② 기후변화 및 자원 부족, ③ 경제 저성장, ④ 세계화의 가속 등이 미래의 생산과 소비를 변화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 인구구조의 변화
 
세계의 도시화율은 2007년 이미 50%를 넘겼고, 2050년경 이면 70%를 돌파할 전망이다.  도시화는 최근 중상위 소득 국가들이 주도하였으나 앞으로는 중하위 이하 소득 국가들이 이끌 전망이다. 도시는 생산과 혁신에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고, 소비자들이 높은 밀도로 모인 새로운 시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는 생산·소비 혁명의 진원지 역할을 할 것이다.

 정보 인프라에 힘입어 스마트한 소비가 이루어지며, 밀집한 인구 사이에 유행이 빠르게 변화하고, 개성을 추구하며 나만의 맞춤형 상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보건 환경 개선, 의료 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류의 평균수명 증가에 의한 고령화도 큰 영향을 줄 전망이다.  

UN에 의하면, 세계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15년에는 12.3%였으나. 2050년에는 21.5%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고령화로 1인당 생산성이 저하되면서 생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동화는 더욱 확산될 것이다. 그리고 고령 자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 시장이 성장할 전망이다. 고령자 편의를 위한 헬스케어 (health care) , 스마트홈 (smart home) 과 교통 시스 템, 쇼핑몰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기후변화 및 자원 부족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자원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있다. 2013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보고서에 의하면, UN은 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21세기만 해도 최소 25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경제 성장의 연료라고 할 수 있는 자원은 도시화, 산업화, 전쟁과 같은 외부 요인에 따라 수급의 변동을 겪는다. 향후 원자재의 수급은 세계적으로 중산층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더욱 역동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또한 원자재 채굴의 한계가 가까워지면서 자원 수급의 불안정성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결과 인류가 지금까지 자원을 이용하며 생산하고 소비해 온 방식이 미래에도 지속가능할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기후변화와 자원 부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세계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경제 저성장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의 저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의 저성장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일상 상태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뉴노멀 (New Normal) ’로 불리기도 한다. IMF에 따르면 금융위기 전인 2001~2007년의 선진국 잠재성장률은 2.25%였으나, 2015~2020년에는 1.6%로 하락할 전망이다. 신흥국도 같은 기간 잠재성장률이 6.5%에서 5.2%로 낮아지는 등 저성장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어떨까? OECD 에서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감소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2060년까지 잠재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성장의 지속은 소비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만족을 얻으려는 합리적 소비문화가 확산될 것이다. 이러한 소비 패턴의 변화는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쳐서,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제품을 공급하는 전략이 주목 받게 될 것이다.    

출처-‘10년 후 미래전략 보고서-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

■ 세계화의 가속과 신보호무역주의의 등장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통계에 따르면, 국가 간 제품 교역은 1980년의 1조 9,400억 달러에서 2015년 15조8,500억 달러로, 서비스 교역은 2001년 1조5,400억 달러에서 2015년 4조 7,300억 달러로 증가했다. 특히, 세계의 공장들이 개발 도상국들로 이동하면서 글로벌 협업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전에는 세계 경제의 변방에 위치하던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이 중요한 주체로 부상했다. 세계의 산업 부가 가치에서 아시아 신흥국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1년 11.9%에서 2014년 38.1%로 증가했다 (UNCTAD 통계) . 또한, OECD (2010년) 는 1만 9,500달러 이상 소득을 가진 전 세계 소비자 중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30년경 서구를 앞지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세계화 흐름에 대한 반작용 또한 나타나고 있다.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각국은 자국 경제를 회생시키면서 알게 모르게 보호무역의 장벽을 높여 왔다. G20 국가들에서 무역제한조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실제로 제품, 서비스, 자금의 세계적인 흐름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을 정점 으로 하락했다. 그리고 2016년의 브렉시트 (Brexit) 나 미국 대선 결과는 이러한 신보호무역주의의 동향을 극명하게 드러낸 사례라고 할 수있다. 이는 한국처럼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게는 더 큰영향을 줄 수 있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