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고고도 무인정찰기 도입 무산

미국 판매의향서 보내주지 않아 2016년으로 늦춰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무인 항공기 글로벌 호크.
대북 감시정찰 핵심전력으로 꼽히는 고고도 무인정찰기(HUAV) 도입이 결국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 이후로 늦춰지게 됐다.

27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이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를 한국에 판매하겠다는 의향서(LOA)를 보내지 않고 있어 HUAV 도입 사업시기가 2016년으로 1년 늦춰지게 됐다.

군 당국은 대북 감시정찰 강화를 위해 글로벌호크를 전작권 환수 이전에 도입키로 하고, 작년 미측에 LOA를 신청해 올해 6월까지 답신이 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답신이 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HUAV 사업은 올해 미측과 글로벌호크 구매 협의를 하지 못하게 되면서 내년에는 경쟁체제로 사업계획을 새로 수립하게 됐다.

2005년부터 글로벌호크 도입을 추진해 온 군 당국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앞두고 독자적인 대북 감시능력을 갖추기 위해 계속해서 미국에 판매를 요청을 했다.

하지만 사업이 지연되면서 도입시기도 계속해서 지연됐고 군 안팎에서는 글로벌호크 도입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제시됐다. 그 사이 가격은 사업 초기 2000억원 미만에서 9400억원으로 다섯 배나 껑충 뛰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장수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미측의 판매 승인 절차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글로벌 호크 도입이 늦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글로벌호크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다른 무인 정찰기까지 검토하는 경쟁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미측의 부정적인 반응에도 군 당국이 글로벌호크만을 고집하다 전작권 환수 이후에도 우리 군은 자체적인 대북 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됐다.

HUAV 사업이 경쟁체제로 전환되면 기존 글로벌호크 외에 팬텀아이와 글로벌옵저버 등이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다른 기종에 대한 평가자료를 제출해주도록 미측에 정식으로 요청했으며 자료가 도착하는 데로 이를 검토해 사업계획을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치솟은 가격 탓에 글로벌호크는 경쟁체제로 전환하더라도 구매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기종에 대해서도 미측이 자료제출에 응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한 군사 전문가는 "미국이 HUAV를 전략무기로 분류하며 판매에 부정적인 상황"이라며 "해외 도입 뿐 아니라 국내 개발 등으로 사업방식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호크는 적의 대공미사일이 미치지 못하는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SAR)와 적외선탐지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등 첩보위성 수준급 전략무기로 작전 비행시간은 38~42시간 가량이며 작전반경은 300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팬텀아이는 19.8㎞ 상공에서 최장 4일간 비행할 수 있고, 적 레이더에 방해받지 않고 0.3m 해상도의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글로벌옵저버는 20㎞ 상공에서 일주일간 비행할 수 있고, 인공위성을 통해 운용된다. 다만 정찰 반경이 500㎞로 활동폭이 좁다.

 

저작권자 © SDG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지속가능경제